본문 바로가기

도움17

20장. 개체군의 변동과 군집의 상호작용 지난 장에서는 생태계를 구성하는 생물 요소 생산자, 소비자, 분해자의 특성과 이들의 형태 및 적응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소에 대해 알아봤다. 환경적 요소가 생물군에게 어떤 영향을 주고 이들이 환경 변화에 어떻게 적응하는지를 알아보았다면, 이번 장에서는 환경과 각 무리의 영양에 따른 변화를 생태계에 존재하는 넓은 범위의 종인 개체군과 개체군의 확장형인 군집의 범위에 초점을 맞춰 알아보도록 하자. 개체군이란 종이 같은 생물들의 집합으로 생태계에 존재하는 큰 범위 속 군집 내의 같은 종들의 합이라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물 집단 내 수 십 마리의 사자, 수 백 마리의 기린, 수 천 마리의 코뿔소가 존재한다면 이들은 동물 군집 내에 포함된 사자군, 기린군, 코뿔소군으로 볼 수 있다. 이들 개체군들.. 2022. 1. 4.
19장. 생태계의 구성 우리는 이전 장에서 생태계에 존재하는 생물들을 여러 조건과 형태 및 특성에 따라 분류하였다. 여러 종의 생물체들은 수 세기 동안 각자 자신이 처한 환경과 상황에 맞게 자신의 형태를 변형해오고 진화해왔다. 그러면 이 많은 생물들이 생태계 내에서 어떤 역할을 하고 서로 어떠한 상호작용을 하여 생태계를 유지하고 이루어나가는지 이번 장에서 알아보도록 하자. 생태계에는 넓게 생산자, 소비자, 분해자 세 종류로 구분되는 생물들이 존재한다. 생산자는 자연계에 존재하는 무기물과 빛 에너지를 원료로 삼아 당과 같은 유기물을 합성하고 생명체들이 살아갈 수 있도록 산소를 제공해주는 역할. 소비자는 생산자로부터 만들어진 산소를 이용해 호흡하고 생산자에게 무기물을 공급해주며, 이들을 양분으로 삼으며 자신의 삶을 영위하는 역할... 2022. 1. 3.
18장. 식물계와 동물계 이전 장에서는 다섯 가지 계층으로 나뉘는 분류체계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였다. 이번 장에서는 지난 장에서 미처 마무리 짓지 못한 식물계의 분류와 동물계의 분류를 심층적으로 다룰 것이다. 지난 장에 이어 식물계는 서식지의 위치, 관다발의 유무, 씨방의 종류, 생식 방식 등의 여러 조건에 의해 분류된다. 이번 장은 식물계 씨방의 유무에 따른 식물계의 분류부터 시작하도록 하겠다. 종자(꽃)의 유무에 따라 식물은 종자식물로 분류가 되는데, 이는 더 나아가 씨방의 유무에 따라 겉씨식물과 속씨식물로 나누어진다. 이 씨방은 꽃의 암술대 밑에 붙은 통통한 주머니 모양을 한 부분으로 밑씨가 만들어지고 보관되는 부분이다. 이는 동물계의 생물의 난소와 같다고 보면 된다. 씨방이 없는 겉씨식물은 밑씨가 씨방에 싸여있지 않고 밖.. 2022. 1. 3.
17장. 생물의 다양성(2) 이번 장에서는 생물들을 분류하는 넓은 범위 `계'에 대해 집중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전 장에서 다양한 생물들은 제일 좁은 범위의 `종'부터 가장 넓은 범위 `계'까지 총 7 단계로 분류가 된다고 했다. 각 생물들은 형태적, 생식적 특징, 지리적 차이 및 변종과 품종 등의 이유로 수많은 `종'으로 분류되며, 이 `종'들은 연관성에 따라 `속', `과', `목', `강', `문', `계'와 같이 점차 넓은 범위로 그룹 지어진다. `계'는 이 중 가장 넓은 범위의 분류기준으로 과거 `동물', `식물'로만 나뉘었던 2계 분류 체계에서 3계 분류(동물, 식물, 원생동물(미생물))를 거쳐 현재의 5계 분류 즉 `동물', `식물', `균류', `원생동물', `원핵생물'의 다섯 가지 계층으로 정의되었다. 그럼 이 .. 2022. 1.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