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2

18장. 식물계와 동물계 이전 장에서는 다섯 가지 계층으로 나뉘는 분류체계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였다. 이번 장에서는 지난 장에서 미처 마무리 짓지 못한 식물계의 분류와 동물계의 분류를 심층적으로 다룰 것이다. 지난 장에 이어 식물계는 서식지의 위치, 관다발의 유무, 씨방의 종류, 생식 방식 등의 여러 조건에 의해 분류된다. 이번 장은 식물계 씨방의 유무에 따른 식물계의 분류부터 시작하도록 하겠다. 종자(꽃)의 유무에 따라 식물은 종자식물로 분류가 되는데, 이는 더 나아가 씨방의 유무에 따라 겉씨식물과 속씨식물로 나누어진다. 이 씨방은 꽃의 암술대 밑에 붙은 통통한 주머니 모양을 한 부분으로 밑씨가 만들어지고 보관되는 부분이다. 이는 동물계의 생물의 난소와 같다고 보면 된다. 씨방이 없는 겉씨식물은 밑씨가 씨방에 싸여있지 않고 밖.. 2022. 1. 3.
16장. 생물의 다양성(1) 우리는 이전 장에서 생물체의 형질을 발현하고, 유전을 담당하는 DNA에 대해 배워보았다. 그럼 이제 머릿속에 DNA의 기본적인 성질, 다음 세대로의 유전적 방법을 숙지해두고 유전을 통해 어떻게 다양한 생물로 분화되는지, 이 다양한 생물들은 어떻게 분류를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이번 장은 지난 1장에서 배웠던 지구 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생물의 종과 분류법을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하려 한다. 그 이유는 생물 상호 간의 유연관계 및 진화 계통을 밝혀 생물들이 분류학적으로 얼마나 멀고 가까운지를 알아내고자 하는 것이다. 이 분류체계는 좀 더 정밀한 기준으로 생물들의 유사성과 특성을 나타내는 보기 좋은 지표가 된다. 생물의 분류 방법은 총 두 가지, 인위적 분류 방법과 자연적 분류 방법으로 나뉜다. 인위적 분류 .. 2022. 1. 3.